영화로 보는 심리학 6

심리학으로 보는 폭싹 속았수다

1. 애순 (아이유)요망진 반항아로 불리는 강인한 소녀.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당당히 삶을 헤쳐 나가는 캐릭터.​심리학적 분석:자신감과 회복탄력성 (Resilience):애순은 역경을 이겨내기 위해 강한 회복탄력성을 보여줍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 태도와 행동으로 삶을 개척해나가는 모습이 특징입니다.이 회복탄력성은 불우하지만 독립적이고 자발적 경험에서 길러진 결과일 가능성이 큽니다.자아효능감 (Self-efficacy):본인의 행동이 변화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는 높은 자아효능감을 보여줍니다.이는 주어진 환경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끊임없이 찾으려는 모습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사회 문화적 조건의 영향:195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제주 여성의 강인함을 상징적으로 내포.이런 맥락 속에서..

심리학으로 보는 기생충

🧠 1. 계급 갈등과 사회 심리학(1) 사회적 비교 이론 (Social Comparison Theory)사회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의 사회적 비교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지위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자아존중감을 형성합니다.기택(송강호) 가족은 자신들의 경제적 상태를 박 사장(이선균) 가족과 비교하면서 열등감과 좌절감을 느낍니다.자신이 타인보다 낮은 계층에 있다는 인식이 불안감과 분노로 이어지며, 결국 파국적 행동을 초래합니다.👉 예: 기택이 박 사장의 차를 운전하면서 그의 냄새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장면 → 열등감이 분노로 전환되는 과정(2) 상대적 박탈감 (Relative Deprivation)상대적 박탈감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느..

심리학으로 보는 뷰티풀마인드

영화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는 실존했던 천재 수학자 **존 내쉬(John Nash)**의 삶을 바탕으로 한 전기 영화입니다. 론 하워드 감독이 연출하고 러셀 크로우가 주연을 맡았습니다.스토리 개요1. 천재 수학자의 등장1947년, 존 내쉬는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합니다. 그는 사회적으로 어색하고 괴짜 같은 성격이지만, 뛰어난 수학적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기존의 경제 이론을 뒤엎는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을 개발하며 학계에서 인정받습니다.2. 냉전 시대와 암호 해독졸업 후 MIT에서 연구를 하던 내쉬는 미국 국방부 요원 윌리엄 파처(에드 해리스)에게 스카우트되어 소련의 암호를 해독하는 비밀 임무를 맡습니다. 그는 점점 더 ..

심리학으로 본 "죽은 시인의 사회"

이 영화는 단순한 성장 드라마가 아니라, 심리학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된 작품입니다. 주요 캐릭터와 사건들을 심리학 개념과 기법을 적용해 분석해 보겠습니다.1. 키팅 선생님 – 인본주의 심리학 (Carl Rogers, Abraham Maslow)🔹 로저스의 인간 중심 치료 (Person-Centered Therapy)키팅 선생님은 학생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을 제공합니다. 그는 학생들에게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주며, 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합니다.🔹 매슬로우의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키팅은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깨닫고, 억눌린 욕망을 실현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닐이 연극에 도전하는 과정..

심리학으로 본 쇼생크탈출

영화 '쇼생크 탈출'을 심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재구성하면, 등장인물들의 내면 심리와 행동 동기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1. 앤디 듀프레인: 희망과 자기 효능감의 구현인지 행동 치료:앤디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생각에 휩쓸리지 않고, 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며 구체적인 탈출 계획을 세웁니다. 이는 인지 행동 치료의 핵심 원리인 '사고의 전환'을 보여줍니다.그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자기 효능감)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계획을 실행하며,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한 인지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정신 분석학:앤디의 침착함과 냉철함은 억압된 분노와 슬픔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 그는 내면의 고통을 드러내지 않고, 대신 지적인 능력과 계획성을 통해 극복하려 합니다.그의 탈출은 단순히 육..

심리학으로 본 오징어게임

🔍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오징어 게임》《오징어 게임》은 인간의 심리와 본성을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시험하는 이야기입니다. 참가자들은 생존과 돈을 위해 도덕성을 포기하거나, 협력과 배신을 반복하며 심리적 변화를 겪습니다. 이를 심리학적 개념과 이론을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주요 심리학적 개념과 이야기 흐름1. 절박함과 '생존 본능' (생리적 욕구 –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경제적 어려움(빚, 실업, 질병, 가족 문제) 때문에 게임에 참가합니다.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먹고 사는 것)와 안전 욕구(경제적 안정)가 위협받자, 인간은 도덕보다는 생존을 최우선으로 하게 됩니다.→ 예시: 기훈은 원래 선한 성격이지만, 생존을 위해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