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은 인간의 심리와 본성을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시험하는 이야기입니다. 참가자들은 생존과 돈을 위해 도덕성을 포기하거나, 협력과 배신을 반복하며 심리적 변화를 겪습니다. 이를 심리학적 개념과 이론을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
📌 주요 심리학적 개념과 이야기 흐름
1. 절박함과 '생존 본능' (생리적 욕구 –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
-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경제적 어려움(빚, 실업, 질병, 가족 문제) 때문에 게임에 참가합니다.
-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먹고 사는 것)와 안전 욕구(경제적 안정)가 위협받자, 인간은 도덕보다는 생존을 최우선으로 하게 됩니다.
→ 예시: 기훈은 원래 선한 성격이지만, 생존을 위해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2. 집단 심리와 동조 행동 (사회적 영향 이론 & 몰개성화)
- 참가자들은 개인으로 있을 때보다 집단 속에서 더 폭력적이거나 잔인한 결정을 내립니다.
- 이처럼 익명성이 보장된 집단 속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도덕적 기준을 잊고 집단에 동조하는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 예시: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게임을 중단하려 하지만, 다시 돌아와서 서로를 죽이는 데 점점 익숙해집니다.
3. 도덕성과 배신 (도덕 발달 이론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 극한의 상황에서 참가자들은 ‘선과 악’ 사이에서 고민하며 행동합니다.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처벌 회피’ 또는 ‘개인의 이익’을 위한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됩니다.
→ 예시:
- 상우는 이기적인 선택(알리 배신, 새벽 제거)을 하며 점점 타인을 도구처럼 대합니다.
- 기훈은 도덕성을 유지하려 하지만, 필요할 때는 거짓말을 하거나 잔인한 선택을 합니다.
4. 게임 속 경쟁과 사회적 비교 (사회 비교 이론 & 죄수의 딜레마)
-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불안감을 느끼고, 자신이 더 나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압박을 받습니다.
- 게임은 협력해야 하는 순간과 경쟁해야 하는 순간이 섞여 있으며, 결국 신뢰할 수 없는 환경에서 개인은 배신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집니다.
→ 예시:
- 구슬치기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서로 믿어야 하지만, 결국 한 사람이 죽어야 하는 구조 때문에 배신과 갈등이 발생합니다.
- 상우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친구인 알리를 속이고, 결국 그의 죽음을 초래합니다.
5. 권력과 복종 (밀그램 실험 & 권위에 대한 복종)
- 게임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참가자들에게 절대적인 규칙을 부과하고, 참가자들은 여기에 복종합니다.
- 밀그램의 실험(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처럼, 참가자들은 점점 명령에 익숙해지고, 도덕적 판단 없이 게임을 따르게 됩니다.
→ 예시:
-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충격을 받지만, 점점 사람들의 죽음을 무감각하게 받아들입니다.
- 진행 요원들도 얼굴을 가리고 ‘개인’이 아닌 ‘시스템의 일부’로 행동하면서 죄책감을 덜 느낍니다.
6. 부익부 빈익빈과 불공정한 사회 (사회적 불평등 & 학습된 무기력)
- 오징어 게임은 자본주의 사회의 축소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가난한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위험한 선택을 해야 하지만, 부자(게임 VIP)는 이를 구경하는 입장입니다.
- 계속된 실패와 억압적인 환경 속에서 ‘학습된 무기력’(아무리 노력해도 바뀌지 않는다는 체념)이 나타납니다.
→ 예시:
- 기훈은 최종 우승을 하지만, 결국 돈을 제대로 쓰지 못하고 무기력한 상태에 빠집니다.
- 참가자들은 시스템을 바꾸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자발적으로 게임에 재참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결론: 인간 본성에 대한 실험
《오징어 게임》은 심리학적으로 볼 때, 인간이 극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실험과도 같습니다.
- 인간은 생존을 위해 도덕성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 집단 속에서는 잔인한 선택이 쉽게 이루어집니다.
- 사회적 불평등이 지속되면, 사람들은 부조리한 시스템에 순응하거나, 이를 바꾸려 하기보다는 적응하려 합니다.
💡 결국 《오징어 게임》은 "인간은 돈과 생존 앞에서 어디까지 변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로 보는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으로 보는 폭싹 속았수다 (1) | 2025.03.11 |
---|---|
심리학으로 보는 기생충 (1) | 2025.03.10 |
심리학으로 보는 뷰티풀마인드 (2) | 2025.03.07 |
심리학으로 본 "죽은 시인의 사회" (3) | 2025.03.06 |
심리학으로 본 쇼생크탈출 (3) | 2025.03.05 |